새로운 스토리지를 생성합니다. 생성된 스토리지는 NFS(network file system,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)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스턴스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항목 | 설명 |
---|---|
이름 | 생성될 스토리지의 이름입니다. 스토리지 이름을 통해 NFS 접근 경로를 만듭니다. 이름은 100자 이내의 영문자와 숫자, 일부 기호('_')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. |
설명 | 스토리지에 대한 설명입니다. |
크기 | 생성될 스토리지의 크기입니다. 최소 300GB부터 최대 10,000GB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. |
VPC | 스토리지에 접근할 VPC(virtual private cloud, 가상 사설 클라우드)입니다. |
서브넷 | 스토리지에 접근할 서브넷입니다. 선택된 VPC의 서브넷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. |
접근 제어 목록(ACL) | 읽기, 쓰기 권한을 허용할 IP 또는 IP 대역 목록입니다. |
스냅숏 자동 생성 | 매일 1회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생성합니다. 최대 저장 개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생성된 스냅숏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스냅숏이 삭제됩니다. |
스냅숏 저장 용량 | 스냅숏 용량의 총합이 설정한 크기를 초과할 경우 모든 스냅숏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스냅숏이 삭제됩니다. |
[참고] 2022년 7월 현재 지정된 서브넷에서만 NAS 스토리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[참고] 2022년 7월 현재 프로젝트별로 사용 가능한 서브넷은 총 3개로 제한됩니다.
NAS 스토리지의 크기를 변경합니다. 스토리지 사용 중에도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합니다.
스토리지의 접근 제어 목록(ACL) 설정을 변경합니다.
스냅숏 자동 생성 및 스냅숏 저장 용량에 대한 설정을 변경합니다.
NAS 스토리지를 삭제합니다. 스토리지 삭제는 연결한 인스턴스와 마운트 해제 후 삭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 스토리지 삭제 시 스냅숏을 포함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며, 삭제 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습니다.
NAS 스토리지의 스냅숏을 즉시 생성합니다.
스토리지를 스냅숏이 생성된 시점으로 복원합니다. 복원 시 복원 시점 이후에 생성된 스냅숏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. 2022년 7월 현재 스냅숏 복원은 고객센터 문의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
지정된 스냅숏을 삭제합니다. 한번 삭제된 스냅숏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생성된 스토리지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인스턴스에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. 단 마운트할 인스턴스는 스토리지에 지정된 서브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.
sudo apt-get install nfs-common rpcbind
sudo yum install nfs-utils rpcbind
sudo service rpcbind start
sudo mount -t nfs {nas source} {mount point}